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5가지 매매기준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본인만의 매매기준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매매기준으로 5가지를 알아보고 어떻게 적용하여 성공적인 투자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체적인 본인의 성향에 맞는 변형을 하기 전에 기본이 되는 기준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성공으로 이르는 지름길을 가게 될 것입니다. 본격적인 투자 시작 시점은 언제여야 할까요? 지수가 박살이 난 이후, 반토막 이후가 들어가기 딱 좋은 시점임은 이전 글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1. 기간에 따른 수익률 기준

기간

본인의 트레이딩 성향이 단기, 중기 그리고 장기 중에서 어디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물론 이 단기, 중기 및 장기를 결정하는 기간도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10년을 장기라고 보는 사람에게 한달이나 두 달은 단기가 될 수 있겠죠. 반대로 분봉으로 거래를 한다고 하면 10년은 생각도 하기 싫은 기간일 것입니다.

수익률

그렇다면 기간에 따른 수익률은 어떻게 설정할까요?
만약 회사에 다니고 있고 매일 HTS를 켜놓고 모니터링 할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단타보다는 스윙으로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보통 스윙의 기간을 일주일이나 한 달 이내라고 할 때 적정한 수익률은 10%에서 20% 사이로 잡으면 좋습니다. 만약 일주일이내의 단기 트레이딩을 목표로 한다면 수익률은 3%에서 5% 사이로 잡으면 적당하다고 합니다.
이렇게 나의 매매방법과 주어진 시간적인 여유에 따라 개별적으로 트레이딩 기간과 수익률을 따져보았다면, 설정한 수익률을 줄 수 있는 종목을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달 변동성이 2%에서 3% 수준에서 움직이는 종목을 선택하고 10%나 20%의 수익률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겠지요?

기대 수익

본인이 직장인이고 하루나 이틀이상 HTS를 못보기도 한다면 10%의 단기 수익을 올리는 목표를 잡는 것은 무리입니다. 몇 번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사놓고 오르겠지라고 생각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은 확률이죠.

2. 승률

내가 사면 내린다. 내가팔면 오른다. 이런 말이 많죠? 내 투자 승률은 언제 올릴 수 있을까요? 어떤 지표가 있으면 좋을까요? 바로 지수와 가격구조를 살펴서 높은 승률을 가져다주는 시점을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지수

지수는 전체 종목의 등락을 평균내서 한번에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덱스입니다. 지수가 오르느냐, 지수가 내리느냐에 따라서 개별 종목의 등락이 반영된다는 것입니다.

가격구조

래리 윌리엄스의 가격구조도 좋은 매수, 매도 타이밍을 알려줍니다.

3. 시장대비 강도

어떤 종목이 지수를 이기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은 선택 기준이 됩니다. 아까 지수는 종목들의 평균이라고 했죠? 다시 말해 평균점수 이상을 받는 종목들이 계속 그렇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코스피 지수보다 강한 종목을 고르는 것만으로도 시장보다 높은 성과를 기대할 확률이 커집니다.
지수가 폭락했는데 누군가 지수의 회복보다 빠르게 회복했다면? 눈여겨봐야할 종목이 생긴 겁니다. 빨리 회복하는 업종을 기억하세요.

4. 돈의 흐름

주도주와 대장주를 파악해야 합니다. 돈이 어디로 흐르는지 확인가능한 가장 큰 방법은 주도주나 대장주의 변경입니다. 돈이 돌고 있는 것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이것은 장기적으로 계좌의 수익률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지수의 고점이 나오고 눌렸는데 이후 날라가는 종목 군이 있을 때, 누가 대장인지 알아야 합니다.
  • 같은 종목군이면 더 많이 오른 종목이 주도주입니다. 많이 올랐으니 덜 오른 종목을 선택하면 안돼요.

5. 거래대금

거래대금은 속일 수 없습니다. 돈이 컨트롤하는 종목을 따라가야 합니다. 돈이 많이 들어온 종목에서 1%나 2% 올리고 시세가 끝나는 법은 없겠죠?

마무리

위의 5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자신만의 선택을 위한 매매기준을 가지는 것은 시장에서 승률을 높이고 손익비를 크게 가져가는 지름길입니다.

'그리디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9월 무매 결과  (0) 2023.09.20
주식시장의 위기와 기회  (0) 2023.08.29
투자자란 무엇인가  (0) 2023.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