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의 위기와 기회

주식시장에는 과거에서부터 반복되는 공통점이 있는데, 지수가 고점을 찍으면 적어도 3년 안에 반토막이 나버린다. 반토막이 나버리면 100 퍼 오른다. 이 시나리오가 올해도 맞을까?

수익 시나리오

대중의 축제가 끝나고 고점대비 반토막이 나면, 매수하라. 97.03의 확률로 올라간다.

축제가 끝나고 개폭락을 하는데는 1~3년이 걸리고, 적어도 반토막이 나면 그다음을 노리면 될 일이다.

본능을 넘어서는 투자

지수와 반대로 움직여야 한다. 지수를 보면서 기회와 위기를 파악하고, 활용하는 시나리오를 만들어야 한다.

객관성

위의 시나리오가 실제 지수 자료를 가지고 검증이 가능한지 파악해봐야 한다.

논리성

위의 시나리오를 설명했을때, 논리적으로 설득이 가능한지 돌아봐야 한다.

수익성

위의 시나리오에 따른 기준이 돈이 되는가 확인해야 한다.

지속성

반복되는가?

검증과 피드백

검증과 피드백을 해야 한다. 시나리오를 작성했다면, 반드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검증과 피드백을 통해서 그리 해야 한다.

당신은 지수를 활용한 매수, 매도의 시점을 판단하는 시나리오가 옳다고 생각하는가?

2018년 10월 중국 반토막

2020년 3월 한국 코스닥 반토막

2022년 2월 러시아 반토막

새로운 시나리오는 어디에서 반복될까?

'그리디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5가지 매매기준  (0) 2023.08.31
투자자란 무엇인가  (0) 2023.08.29
TQQQ, SOXL 7월 투자 현황 정리  (0) 2023.08.01